수 업 계 획 서
2012학년도제2학기 감리교신학대학교
과목명
|
(국문) 문화비평 |
대 상 |
(전공) : (학년) : 2-4 | ||||
(영문) Cultural Criticism |
학 점 |
3 |
주당시간수 |
3 | |||
담 당 교 수 |
성 명 |
김 선 하 |
구 분 |
전 공 |
필 수( ) 선 택 ( ) | ||
핸드폰 |
|
교 양 |
필 수( ) 선 택 ( ) | ||||
이론( ) 이론+실습( ) 실습( ) | |||||||
이메일 |
hermeneus@hanmail.net | ||||||
강 의 개요와 목 표 |
문화라는 말은 간단히 정의하기가 힘들 정도로 다양한 특성과 양상을 지니고 있다. 그와 더불어 문화 비평이란 여러 학문이 관련되어 있고 여러 분야에 걸쳐 있는 범학문적인 작업이다. 그 중에서 본 강의는 현대 해석학자 폴 리쾨르를 통해 문화를 해석할 수 있는 학문적 기초를 쌓고 현대 문화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
수 업 방 식 |
학생들의 발표와 토론, 교수의 보충강의 | ||||||
성 적 평 가 방 법 |
발표(30점)와 보고서(20점), 기말시험(30점), 출석과 수업참여(20점) | ||||||
수 업 진 도 계 획 | |||||||
주 별 |
날 짜 |
교 수 내 용 |
비 고 (과제물 시험) | ||||
제1주 |
8/29 |
강의 개요 |
| ||||
제2주 |
9/5 |
구조와 문화: 시간의 문제 |
교재1, 1장, 1, 2 | ||||
제3주 |
9/12 |
의미와 사건: 겹뜻의 문제 |
교재1, 1장, 3 | ||||
제4주 |
9/19 |
의식과 무의식의 문화 |
교재1, 2장, 1 | ||||
제5주 |
9/26 |
정신분석학과 현대문화 |
교재1, 2장, 2 | ||||
제6주 |
10/3 |
개천절 |
| ||||
제7주 |
10/10 |
정신분석학의 재해석 |
교재1, 2장, 3 |
제8주 |
10/17 |
영화감상 |
감상문 작성 (A4용지 2매 내외) |
제9주 |
10/24 |
주체 문제: 현상학과 기호론의 도전 |
교재1, 3장 2, 3 |
제10주 |
10/31 |
종교와 믿음: 신화 해석과 자유의 케리그마 |
교재1, 5장 1, 2 |
제11주 |
11/7 |
죽음의 문제: Well-being에서 Well-dying까지 |
교재2, 2부 1장 |
제12주 |
11/14 |
기억과 망각: 역사란 무엇인가 |
교재2, 3부 1장 |
제13주 |
11/21 |
용서의 종말론: 하기 힘든 용서 그리고 인정 |
교재2, 3부 2장 |
제14주 |
11/28 |
적용과 실천 |
감상문 작성 (분량 자유) |
제15주 |
12/5 |
기말고사 |
|
교
재
및
참
고
도
서 |
교재: 1. 폴 리쾨르, <해석의 갈등>, 한길사 2. 정기철, <문화와 해석학>, 예영커뮤니케이션 Paul Ricoeur, La Memoire, l'histoire, l'oubli, Seuil, 2000.
참고도서와 참고자료는 수업 중에 고지할 것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