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제 4회 <철학의 날> 행사와 관련하여

sunha 2006. 11. 9. 22:21
철학과 학과장님들, 그리고 철학교수님들께


제 4회 <철학의 날> 행사와 관련하여 다시 안내 말씀드립니다.
초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KPO는 주최 측에 맡겨주셔도 됩니다만, <대학생 철학토론대회>에는 학과장님들뿐 아니라 교수님들께서 철학과 학생들을 좀 독려도 하고 지도도 하여 많이들 참여하도록 하셔야겠읍니다. 이점 유념해주실 것을 다시 한번 더 청탁드리며, 아래에 그 일정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대회의 자세한 내용과 일정은 첨부한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철학회 발전위원장/KPO집행위원장 손동현 올림

[아래]
[ 각 대학 철학과장님께]

안녕하십니까?
제 4회 철학의 날 행사계획을 알려드리며 각 대학 철학과의 깊은 관심과 뜨거운 성원을 구합니다.

제 4회 대한민국 < 철학의 날 >
---------------------------------------------------------------------------
행사일시: 2006년 11월 26일(일) 오전 9시- 오후 6시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행사내용: 1. 제 15회 국제철학올림피아드(IPO) 파견 예선대회(고교생 대상)
2. 제 7회 한국철학올림피아드(KPO) (중/고교생 대상)
3. 제 4회 철학토론대회(대학생 대상)

주최: 한국철학회 [발전위원회, 철학올림피아드 조직위원회]
주관: 철학교육연구회
후원: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동아일보, (주)웅진씽크빅,

-----------------------------------------------------------------------------
* 위의 행사 중 각 대학 철학과에서 각별한 관심을 갖고 협조해 주셔야 할 <대학생 철학토론대회>에 관해 별지에 좀 더 자세한 것을 알려드리며 협조를 구합니다. 가능한 한 많은 학생들이 학과의 명예를 걸고 참여하도록 격려,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철학운동을 통해 철학계의 발전을 지원한다는 뜻에서 소액의 지원금을 아래 계좌로 송금해 주실 것을 청하오니 성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금: 학과 사정에 따라 10만 - 20만원
송금구좌: 우체국 012260-01-006642 예금주 : 손동현(KPO)

토론주제:
* 1차 토론 (준준결선) -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
* 2차 토론(준결선) -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
* 최종토론 (결선) - “논술교육과 철학”

2006년 10월 18일
한국철학윤리교육연구회장, 한국철학회 철학올림피아드 조직위원회
손 동 현 올림 (직인생략)


문의처: 02-760-0315 / 740-1592 (대회 본부), moresphil@skku.edu
제 4회 대한민국 철학의 날

제 4회 철학토론대회: 대학생 대상


1) 목적
이 대회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자유롭고 합리적인 의사소통 가운데 철학적 사고를 통해 오늘의 삶의 문제에 대한 참신하고도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아가는 능력을 갖추게 하려는 교육적 목적을 갖는다.

2) 대상
이 대회는 철학토론에 관심이 있는 전국 4년제 대학교 철학과 및 철학 유관학과(예: 미학과, 종교철학과, 도덕교육과 등)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토론지원자는 동일 대학 재학생 3명을 한 팀으로 하고, 재학 중인 학과의 전임교수의 추천서를 받아서 신청하도록 한다. 각 동일학과에서 신청할 수 있는 토론팀은 최대 2개팀으로 제한한다. 사회자는 철학과 및 철학 유관학과 학부 재학생 및 대학원생이 개인적으로 지원한다.

3) 시행일정
- 10월 23일(월) : 한국철학회 홈페이지 통해, 그리고 전국 철학과 및 유관학과에 공지
- 11월 19일(일) : 서류신청 마감
* 토론 희망자들은 3명이 1팀이 되어 신청서와 토론시나리오 등을 제출한다.
* 토론 사회자 희망자는 신청서와 토론기획서를 제출한다.
- 11월 22일(화): 서류심사 후 토론 본선에 참여할 8개팀을 선정 및 공지한다.
- 11월 26일(일) : 제 4회 철학의 날 철학토론대회

4) 신청방법
토론팀 및 토론사회자로 지원하고자 하는 사람은 철학올림피아드 홈페이지(http://philosopiad.or.kr)의 참가신청 게시판 안내를 참조하여 지원한다. (철학토론카페 http://cafe.daum.net/phildebate 지원서류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11월 19일 24:00까지 전자메일 phildebate@hanmail.net로 지원한다.)

5) 심사방식 :
1. 토론자지원팀들과 사회자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서류심사위원들이 8개 토론팀과 4명 사회자를 선발한다.
2. 토론 1차전과 2차전은 각 토론회당 2명의 심사위원이 심사한다.
3. 3차전(결선전)에서는 4명의 심사위원이 심사한다.
4.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자신의 대학 지원팀에 대해서는 심사위원을 맡지 않는다.
5. 사회자 평가는 2명의 심사위원이 두 토론회를 교차로 참여하여 심사한다. 사회자에 대한 평가는 A+, A, A-, B+, B, B-, C+, C, C- 9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2명의 심사위원들의 평균을 점수로 합산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의 사회자를 선발한다.

6) 평가기준
1. 주제에 대한 철학적이고도 참신한 사고력
2. 논증력과 비판력
3. 표현력과 전달력
4. 토론 태도와 윤리 (서류심사에서는 제외)

7) 토론대회 진행방식
7.1 준준결선전 및 준결선전
- 토론은 찬반양론이 가능한 주제를 선정하고 각 팀은 3명(그 중 한 명 팀장)으로 구성하여 주어진 주제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의 입장에서 토론을 한다.
- 두 팀이 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그 중 승리한 팀이 올라가는 토너먼트 방식을 취한 다.
- 토론에 참여하는 팀들은 주어진 주제에 관해 찬반 양편에서 토론준비를 하며, 토론대회 때 어느 편에서 서서 토론을 할지는 토론당일 현장에서 추첨으로 결정한다.

7.2 결선전
- 결선에서는 찬반양론의 토론방식이 아니라 훌륭한 결론을 도출해내는 토의방식을 취한다.

8) 토론 시간과 방식 : 1회 토론 당 50분

개회사 및 토론주제 및 주제의 의의 소개: 2분
토론자 소개: 1분
토론 규칙: 1분
입장 표명: 3분씩
토론(주장에 대한 반론과 논증): 35분
반대팀 문제 1 제기 1분
찬성팀 답변 1분
반대팀 문제 1 보충질문 30초
찬성팀 보충답변 30초
찬성팀 문제 1 제기 1분
반대팀 답변 1분
찬성팀 문제 1 보충질문 30초
반대팀 보충답변 30초
보충 질문과 보충답변 2분

반대팀 문제 2 제기 1분
찬성팀 답변 1분
반대팀 문제 2 보충질문 30초
찬성팀 보충답변 30초
찬성팀 문제 2 제기 1분
반대팀 답변 1분
찬성팀 문제 2 보충질문 30초
반대팀 보충답변 30초
보충 질문과 보충답변 2분

반대팀 문제 3 제기 1분
찬성팀 답변 1분
반대팀 문제 3 보충질문 30초
찬성팀 보충답변 30초
찬성팀 문제 3 제기 1분
반대팀 답변 1분
찬성팀 문제 3 보충질문 30초
반대팀 보충답변 30초
보충 질문과 보충답변 2분

반대팀 문제 4 제기 1분
찬성팀 답변 1분
반대팀 문제 4 보충질문 30초
찬성팀 보충답변 30초
찬성팀 문제 4 제기 1분
반대팀 답변 1분
찬성팀 문제 4 보충질문 30초
반대팀 보충답변 30초
보충 질문과 보충답변 2분

최종 발언: 2분씩 (결선전에서는 최종 발언 전 정리시간을 3분 제공)
정리 및 폐회사: 1분
* 토론 운영을 위한 사회자의 멘트, 각 토론팀의 2분짜리 특별발언 등을 고려해서 전체 토론 50분 예정.

9) 토론 규칙
1. 각 발언은 1분을 넘지 못하고 1분이 넘었을 경우 경고의 종이 울린다.
그리고 15초 내로 발언을 마무리해야 한다.
2. 각 팀당 자기 팀에 중요한 부분에서는 2분간 발언할 수 있는 특별발언(찬스)을 한 번씩 사용할 수 있다.
3. 한 팀의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팀의 반문이나 반론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반론에 대해서는 30초의 보충발언을 할 수 있다.
4. 제한된 시간내에서 한 팀에서 두 사람 이상이 발언할 수 있다.

10) 사회자의 역할
1. 사회자는 주어진 토론주제에 대해 전반적인 쟁점을 이해하고 토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준비한다.
2. 사회자는 토론 시작과 함께 해야 하는 토론주제 소개에 있어서 청자들이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토론주제의 의미를 잘 발표해야 한다.
3. 사회자는 토론이 공정히 진행되도록 시간분배 등을 관리해야 한다.
4. 사회자는 주제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각 소주제에 대한 시간분배의 변화를 관리해야 한다.
5. 사회자는 소주제가 끝날 때마다 간략한 정리를 한다.
6. 사회자는 정시에 시작해서 정시에 토론이 끝나도록 책임진다. (50분의 토론이 최소한 48분, 최대한 52분 사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7. 사회자는 토론진행 도우미와 함께 토론자들에게 주어진 발언시간, 전체 토론시간 등을 관리하고, 마이크 상태 등을 점검한다.
8. 사회자는 전체적으로 토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11) 토론자와 사회자 공지사항
1. 토론팀과 사회자는 토론 시작 20분 전까지에 철학토론대회 본부에 와서 참가확인의 서 명을 해주기 바랍니다. (학생증 지참)
2. 토론 후 승리팀은 승리가 결정된 후 다음 토론을 위해 곧바로 철학토론대회 본부로 와 주기 바랍니다(다음 토론 주제 및 찬반 결정).
3. 다음 어떤 토론회에 대해 누가 사회자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토론이 끝난 후 20분 내로 결정되니 본부에 와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2) 수상인원 및 포상금: 총
- 우승팀 100만원; 준우승팀 50만원; 3-4위팀 30만원; 5-8위팀 10만원
- 사회자 결선 20만원; 준결선 10만원; 준준결선 5만원

13) 토론 주제

* 1차 토론 (준준결선) -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
* 2차 토론(준결선) -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
* 최종토론 (결선) - “논술교육과 철학”

*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 : 06년 5월 헌법재판소에서는 시각장애인만 안마사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안마사에 관한 규칙 제3조 제1항 제1호'가 과잉금지, 법률유보 원칙에 위배돼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했다며 재판관 7대1의 의견으로 위헌결정을 내렸다. 한 마디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에게 안마사라는 직업을 선택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기본권에 저촉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판단은 평등권만 강조할 뿐 시각장애인의 생존권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판결이라는 비판이 있다. 법제도의 토대가 되는 정의의 원리는 모든 사회 공동체의 기초이며 여기에는 평등권이 핵심이다. 위의 위헌결정은 과연 우리 사회를 정의로운 사회로 만드는 올바른 판결인가?

* “논술교육과 철학” : 현재 논술고사는 대학입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08년도부터는 대학입시에서 논술의 비중은 더욱 크질 전망이다. 하지만 초등학교부터 고3까지 작문교육은 지속적으로 실시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논술교육을 사교육이 도맡아온 것이 현실이다. 이에 논술교육을 공교육화하는 것과 함께 논술교육에서 철학이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연 철학은 논술교육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대학의 철학교육과정은 어떻게 수정되어야 하는가?

소주제 1: 논술교육의 의의와 현실
소주제 2: 논술교육에 대해 철학이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소주제 3: 논술교육을 위한 철학교육의 개선방안

14) 서류심사: 토론 및 토의 주제에 대한 의견서 제출

* 참가신청서를 제출할 때 아래 두 가지 내용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여 제출할 것(토론 내용이 철학적이어야 함)

제출 1: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증 부여 위헌 판정, 찬반”에 대해 두 가지 입장을 모두 정리한 토론 시나리오를 제출할 것!
제출 2: “논술교육과 철학”에 대해 위의 소주제 3을 중심으로 의견을 정리하여 제출할 것!

15) 토론대회 일정
10:00 소집 및 토론 규정 소개
10:30-10:50 1차 토론 준비
10:50-11:40 1차 토론
11:40-12:00 1차 토론 심사 및 결과 발표

12:00-13:00 점심식사
13:00-13:30 철학의 날 개회식

13:30-13:50 2차 토론 준비
13:50-14:40 2차 토론
14:40-15:00 2차 토론 심사 및 결과 발표

15:00-15:30 3차(결선) 토론 준비
15:30-16:20 3차(결선) 토론
16:20-17:00 3차(결선) 토론 심사

17:00-17:30 결선 결과 발표 및 시상식

15) 문의처 : 홈페이지(http://philosopiad.or.kr) 게시판, 또는 철학토론카페 http://cafe.daum.net/phildebate 또는 전자메일 (phildebate@hanmail.net) / 하병학 교수 (016-9710-0907)

Prof. Dr. Son, Dong-Hyun
Dept. of Philosophy, College of Liberal Arts
Dean of the University Colleg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10-745 KOREA
Tel: 82-2-760-1037/82-10-3019-8485
Fax: 82-2-760-0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