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회

2017년 한국 프랑스 철학회 여름학술대회

by sunha 2017. 5. 31.


안녕하십니까.

 

짧은 봄날이 가고 새로운 계절로 향하는 도정이 바쁘기만 하실 줄 압니다.

한국 프랑스 철학회는 오는 유월 흥미로운 만남을 갖고자 합니다.

 

이번 여름학술대회는 우리 학회가 몇 년 전부터 선보이기 시작한

‘저자와의 대화’로 이루어집니다.

이 기획은 프랑스철학에서 중요한 주제들에 관해 단행본을 출판하신 저자를

직접 모시고 쟁점들에 대한 밀도있는 질의응답의 시간을 갖기 위한 것입니다.

 

이번에 다룰 책은 최원 선생님의

<라캉 또는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반역과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여>(난장, 2016)입니다.

이 책은 라깡과 알튀세르 사이의 이론적 긴장 관계를

독창적인 시각 하에 논쟁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풀어나가면서

현대정치철학의 핵심 문제인 욕망과 이데올로기, 폭력, 해방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에

작년 출판 즉시 이미 적잖은 독자에게 관심과 논의의 대상이 된 바 있습니다.

프랑스철학회에서는 프랑스철학 연구자들의 고유한 관점에 따라

또 다른 생산적인 논의가 펼쳐질 것으로 믿고 다시 한번 이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알튀세르, 라캉, 지젝에 대한 전문 연구가이신 진태원, 이성민, 한보희 선생님께서

아마도 각각 상이한 시각에서 날카로운 논평과 토론을 해주시리라 기대됩니다.

 

이외에도 신진연구자의 발표를 들어보는 시간이 있습니다.

프랑스에서 들뢰즈와 화이트헤드를 비교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하신

이문교 선생님이 같은 주제로 발표를 해 주시겠습니다.

두 현대 형이상의 거장들이 어떤 식으로 연결되는지 기대됩니다.

 

발표와 논평을 기꺼이 수락해 주신 위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관심있는 분들의 적극적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17년 5월 8일

한국 프랑스철학회 회장 황수영 배상 


 


 

2017년 한국 프랑스 철학회 여름학술대회


●저자와의 대화: 최원, <라캉 또는 알튀세르>●

 

• 일시: 6월 24일(토) 13:30-18:30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110호

 

사회: 윤성우 (한국프랑스철학회 부회장. 한국외대)

13:35-13:40 개회사| 황수영 (한국프랑스철학회 회장. 홍익대)


● 1부 | 신진 박사 발표


13:40-14:25 발표|<들뢰즈와 화이트헤드: 초월적 경험론과 사변적 경험론> 이문교(한신대)

14:25-14:45 논평(15분) 및 토론| 이혁주(연세대)  


*이문교 박사: 툴루즈II-장 조레스 대학(Université Toulouse II–Jean Jaurès)에서

피에르 몽테벨로(Pierre MONTEBELLO) 교수의 지도 하에

                           Deleuze et Whitehead : Une étude comparative de leur métaphysique,

Empirisme transendantal et empirisme spéculatif 2015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및 관심 분야는 들뢰즈와 화이트헤드의 철학 및 형이상학과 동아시아 철학이다.


휴식


 

● 2부 | 저자와의 대화, 최원 <라캉 또는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반역과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여>


15:05-15:50 발표| <라캉과 알튀세르: 반폭력의 정치> 최원(<문화과학> 편집위원)

15:50-16:10 논평 1 (20분) | 진태원(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6:10-16:30 논평 2 (20분) | 이성민(도서출판b 기획위원)

16:30-16:50 논평 3 (20분) | 한보희(연세대 비교문학과)


휴식


논평에 대한 답변 및 전체 토론 17:10-18:00

 

폐회사 및 간단한 저녁